본문 바로가기

중국11

필독서 / 손자병법 두번째 제2편 作戰(작전) 작전이란 싸움. 즉, 전쟁을 시작한다는 뜻으로 전쟁을 위해서 무엇을 얼마만큼 준비하고,또한 어떻게 싸워야 승리를 거둘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전쟁은 욕심을 부려 오래 끌어서는 안되고, 비록 요망하는 전쟁의 결과에 미치지 못하더라도속전속결이 좋다는 것입니다. 孫子曰, 凡用兵之法, 馳車千駟, 革車千乘, 帶甲十萬, 千里饋糧(손자왈, 범용병지법, 치차천사, 혁차천승, 대갑십만, 천리궤량) 則內外之費, 賓客之用, 膠漆之財, 車甲之奉, 日費千金, 然後十萬之師擧矣.(즉내외지비, 빈객지용, 교칠지재, 차갑지봉, 일비천금, 연후십만지사거의)손자가 말하기를, 무릇 용병의 법은 10만 명을 움직이기 위해서는전차가 천대 있어야 하고, 무기와 장비 및 식량과 보급품을 나르는치중차가 천대 있어야 하고.. 2020. 3. 31.
# 2016년 8월 23일 신문 브리핑 # > 1. 박근혜 대통령이 22일 청와대에서 을지 국가안전보장회의(NSC)와 국무회의를 잇달아 주재한 자리에서 "북한 체제의 동요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런 상황에서 북한 정권은 내부 동요를 차단하고 추가 탈북을 방지하면서 우리 사회에 혼란을 조장하기 위해 사이버테러를 포함해 각종 테러와 다양한 형태의 도발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발언함 - 북한 엘리트층까지 심각한 동요와 균열이 생기면서 ‘레짐 체인지(정권교체)’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이란 분석이 나옴 > 1. 중국 정부가 LG화학, 삼성SDI 등 한국 배터리업계의 중국 시장 진출을 막았던 규제 조항을 없앰 - 인증을 받은 업체의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준다는 게 당초 중국 정부 방침이었으며, 이에 따라 중국은 ‘전기자동차 배터.. 2016. 8. 24.
2016년 8월 8일 신문 브리핑 > 1. 청와대는 7일 한반도 사드(THAAD·고(高)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중국의 비판에 “우리의 순수한 방어적 조치를 문제 삼기 전에 4차례 핵실험을 하고 10여차례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북한에 더 강력한 문제 제기를 해야 할 것”이라며 “본말이 전도된 것”이라고 밝힘 - 김 수석은 또 “이런 중요한 시점에 더민주 의원 여섯 명이 사드 배치 문제와 관련해 중국을 방문하려는 계획은 재검토해야 할 사항”이라고 말함 -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또한 “중국과 미국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상황에서 국내적으로 분명하게 통일된 의사를 표시해야 우리의 국익이 보장된다”고 말하면서. 사드 배치를 놓고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당내 강경파에 일침을 가함 > 1. 한국 게임산업이 20년 .. 2016. 8. 8.
# 2016년 6월 27일 신문 브리핑 # 특이내용 없음 > 특이내용 없음 > 1.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가 각국 중앙은행 간 통화전쟁으로 번질 조짐을 보이고 있음 - 지난 24일 스위스 중앙은행(SNB)은 브렉시트 여파로 스위스프랑화 가치가 4% 급등하자 외환시장에 개입해 유로당 1.06프랑에서 1.08프랑으로 통화 가치를 2% 떨어뜨렸으며, 일본 재무성 고위 관계자는 25일 “국익과 국익의 싸움”이라며 엔화 가치 급등을 용인하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였음 - 또한 달러화 강세가 이어지자 미국 중앙은행(Fed)이 연내 기준금리를 올리는 대신 내릴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흘러나오고 있음 2. 영국이 지난 23일 국민투표를 통해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를 확정하자 영국의 통화인 파운드화 가치는 국제 외환시장에서 10% 이상.. 2016. 6. 27.
☆ 2016년 6월 21일 신문 브리핑 ☆ > 특이내용 없음 > 1. 20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은 화장품, 웨어러블 기기(착용형 스마트기기) 등 7대 수출 유망 고급 소비재 업종을 선정해 연구개발(R&D)에 예산 3000억원 이상을 집중 지원하는 내용의 ‘프리미엄 소비재 수출 활성화 방안’을 마련, 향후 열리는 무역투자진흥회의에 올릴 예정임 - 정부가 7대 수출 유망 소비재 업종을 선정해 연구개발(R&D)을 집중 지원하기로 한 것은 앞으로 수출 주도 업종이 과거 전통 제조업에서 고급 소비재로 바뀔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 따른 것임 2. 카카오가 기존 대리운전업체 불공정 행위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 제소 등 법적 대응을 불사하며 강경 대응 방침을 밝힘 - 이달 초부터 지금까지 카카오로 접수된 피해 사례는 220여 건에 이르.. 2016. 6.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