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편 兵勢(병세)
이번 시간에는 손자병법 5편 병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勢) 는 기세를 말하고 있습니다. 형(形)으로 승리를 위한 태세를
갖춘 후에 세(勢)로써 적을 이기는 것을 말합니다.
5편에서는 최대의 세를 발휘하기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孫子曰, 凡治衆如治寡, 分數是也, 鬪衆如鬪寡, 形名是也.
三軍之衆, 可使畢受敵而無敗者, 奇正是也.
兵之所加 如以碬投卵者, 虛實是也.
(손자왈, 범치중여치과, 분수시야, 투중여투과, 형명시야.
삼군지중, 가사필수적이무패자, 기정시야.
병지소가 여이하투란자, 허실시야.)
손자가 말하기를, 무릇 많은 사람을 다스림이 적은 사람을
다스림과 같음은 분수(부대편성)에 달려있다.
많은 사람을 싸우게 하기를 적은 사람을 싸우게 함과 같음은
형명(지휘통제수단)에 달려있다.
군대의 무리로 하여금 적의 공격을 받아도 패하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은 기와 정에 달려있다. 군대가 적을 공격함이 마치
숫돌로 알을 깨뜨리듯 하는 것은 허와 실 이것에 달려있다.
凡戰者, 以正合, 以奇勝.
(범전자, 이정합, 이기승.)
무릇 전쟁이란 정으로 대치하여, 기로써 승리하는 것이다.
故善出奇者, 無窮如天地, 不竭如江海, 終而復始,
日月是也, 死而复生, 四時是也.
(고선출기자, 무궁여천지, 불갈여강해, 종이부시,
일월시야, 사이복생, 사시시야.)
그러므로 기를 잘 쓰는 자는 끝없음이 천지와 같고,
마르지 않음이 강과 바다와 같고, 끝나면 다시 시작하니
해와 달이 이것이고, 죽으면 다시 사니 사시가 이것이다.
聲不過五, 五聲之變不可勝聽也. 色不過五, 五色之變不可勝觀也.
味不過五, 五味之變不可勝嘗야. 戰勢不過奇正, 奇正之變不可勝窮也.
(성불과오, 오성지변불가승청야. 색불과오, 오색지변불가승관야.
미불과오, 오미지변불가승상야. 전세불과기정, 기정지변불가승궁야.)
소리는 다섯(궁, 상, 각, 치, 우)에 불과하나
다섯 소리의 변화를 다 들을 수 없고,
색은 다섯(적, 청, 황, 백, 흑)에 불과하나
다섯 색의 변화를 다 볼 수는 없으며,
맛은 다섯(감, 산, 함, 신, 고)에 불과하나
다섯 맛의 변화를 다 맛볼수는 없다.
전세도 기정 두 가지에 불과하지만 기정의 변화를 다 알 수 없다.
奇正環相生, 如環之無端, 孰能窮之哉.
(기정환상생, 여환지무단, 숙능궁지재.)
기정은 순환하여 서로 낳는 것이 마치 고리가 끝이 없음과 같으니,
누가 다 알 수 있겠는가?
激水之疾, 至於漂石者, 勢也. 鷙鳥之擊, 至於毁折者, 節也.
是故善戰者, 其勢險, 其節短, 勢如彉弩, 節如發機.
(격수지질, 지어표석자, 세야. 지조지격, 지어훼절자, 절야.
시고선전자, 기세험, 기절단, 세여확노, 절여발기.)
세차게 흐르는 물이 돌을 떠내려가게 하는 것이 (기)세요,
사나운 새가 공격을 해서 먹이의 뼈를 꺾는 것이 절(도)이다.
그렇기 때문에 잘 싸우는 자는 그 세가 험하고(등등하고),
그 절이 짧으니, 세는 마치 꽉 잡아당긴 활과 같고,
절은 그 활을 쏘는 것과 같다.
紛紛紜紜, 鬪亂而不可亂, 渾渾沌沌, 形圓而不可敗.
(분분운운, 투란이불가란, 혼혼돈돈, 형원이불가패.)
전쟁을 잘 하는 자는 어지럽게 엉클어져 혼란스럽게 싸우지만
부대편성이 잘 되어 있어 혼란시킬 수 없고, 뒤섞여 원형이 되어도
패배시킬 수 없는 것이다.
亂生於治, 怯生於勇, 弱生於强.
治亂, 數也, 勇怯, 勢也, 强弱, 形也.
(난생어치, 겁생어용, 약생어강.
치란, 수야, 용겁, 세야, 강약, 형야.)
어지럽게 보이게 할 수 있는 것은
다스려짐에서 나오고, 겁이 많은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는 것은
용기에서 나오는 것이고, 약하게 보이게 할 수 있는 것은
강함에서 나온다.
질서와 혼란은 수(분수, 부대편성)의 문제이며,
용기와 겁은 세의 문제요, 강하고 약함은 형의 문제다.
故善動敵者, 形之, 敵必從之, 予之, 敵必取之.
(고선동적자, 형지, 적필종지, 예지, 적필취지.)
그러므로 적을 나의 의도대로 잘 움직이게 하는 자는
형태를 보여주면 적이 반드시 따르게 되고,
작은 이익을 보여주면 적이 반드시 이를 취하게 된다.
以此動之, 以卒待之. (이차동지, 이졸대지.)
이것으로 적을 움직이게 하고, 정예 군사로 (적이 달려들기를) 기다린다.
故善戰者, 求之於勢, 不責於人.
(고선전자, 구지어세, 불책어인.)
잘 싸우는 자는 승리를 세에서 구하지 사람(병사)에게서는 구하지 않는다.
故能擇人而任勢. 任勢者, 其戰人也, 如轉木石.
木石之性, 安則靜, 危則動, 方則止, 圓則行.
(고능택인이임세. 임세자, 기전인야, 여전목석.
목석지성, 안즉정, 위즉동, 방즉지, 원즉행.)
능히 사람을 잘 택하여 적재적소에 배치하고 세를 만들게 하니,
세를 만든다는 것은 그 사람을 싸우게 함이 마치 나무와 돌을
굴리는 것처럼 하는 것이다.
나무와 돌의 성질을 보면, 안정된 곳에 두면 고요하고,
가파른 곳에 두면 움직이며, 모나면 정지하고,
둥글면 굴러가는 것이다.
故善戰人之勢, 如轉圓石於千仞之山者, 勢也.
(고선전인지세, 여전원석어천인지산자, 세야.)
그러므로 잘 싸우는 자의 세는 마치 둥근 돌을 천길 산꼭대기에서
굴러 내리는 것과 같이 하는 것이니, 그것이 세(勢)다.
손자병법 제5편 병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병세의 핵심은 부대편성, 지휘통제수단, 기정, 허실이라 설명하고 있으며,
세를 발휘하기 위해서 적재적소에 인원을 배치하여 운용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강조하고 있네요.
다음에는 제6편 허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책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자병법 원문 해역 10분만에 끝내기 (군쟁편) (0) | 2020.04.04 |
---|---|
손자병법 원문 해역 10분만에 끝내기(허실편) (0) | 2020.04.04 |
손자병법 읽기 5분만 투자하세요 (0) | 2020.04.02 |
필독서 손자병법 읽기 5분만 투자하세요 (0) | 2020.04.01 |
필독서 / 손자병법 두번째 (0) | 2020.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