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병법 원문 해역, 제6편 허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허실(虛實), 허와 실을 말한다. 즉 허한 곳을 노리고
실한 것은 피하라는 원칙이 적용되고 있다.
적의 허를 조장하고 나의 허를 최소화시킬 것을 말하고 있다.
허실편의 핵심은 주도권에 대한 문제다. 어떻게 하면 적을 내
의도대로 끌고 다닐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제6편 虛實(허실)
孫子曰, 凡先處戰地而待敵者佚, 後處戰地而趨戰者勞.
故善戰者, 致人而不致於人.
(손자왈, 범선처전지이대적자일, 후처전지이추전자노.
고선전자, 치인이불치어인.)
손자가 말하기를 무릇 먼저 싸움터에 가서 적을 기다리는 자는 편안하고,
늦게 싸움터로 달려가서 급하게 싸움을 하는 자는 피곤하다.
그러므로, 잘 싸우는 자는 적을 나의 의지대로 이끌되
내가 적에 의해 이끌림을 당하지 않는다.
能使敵人自至者, 利之也, 能使敵人不得至者, 害之也.
(능사적인자지자, 이지야, 능사적인부득지자, 해지야.)
능히 적을 내게로 오게 하려면 이로움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하고,
능히 적을 내게로 오지 못하게 하려면 해로움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故敵佚能勞之, 飽能飢之, 安能動之, 出其必趨也.
(고적일능노지, 포능기지, 안능동지, 출기필추야.)
그러므로 적이 편안하게 있으면 능히 피곤하게 하고,
배부르면 능히 배고프게 하고,
움직이지 않으면 능히 움직이도록 하는 것은
내가 나아가되 적이 반드시 따라야만 하는 곳으로
가기 때문이다.
行千里而不勞者, 行於無人之地也. 攻而必取者, 攻其所不守也.
守而必固者, 守其所必攻也.
(행천리이불노자, 행어무인지지야. 공이필취자, 공기소불수야.
수이필고자, 수기소필공야.)
천리를 가도 내가 피곤하지 않는 것은
적이 없는 곳으로 가기 때문이며,
공격하여 반드시 취할 수 있는 것은
적이 지키지 않는 곳을 공격하기 때문이며,
내가 지키면 반드시 견고한 것은
적이 반드시 공격해 오는 곳을 지키기 때문이다.
故善攻者, 敵不知其所守, 善守者, 敵不知其所攻.
(고선공자, 적부지기소수, 선수자, 적부지기소공.)
그러므로 공격을 잘 하는 자는
적이 지켜야 할 곳을 알지 못하게 하고,
수비를 잘 하는 자는
적이 공격할 곳을 알지 못하게 한다.
微乎微乎, 至於無形, 神乎神乎, 至於無聲, 故能爲敵之司命.
(미호미호, 지어무형, 신호신호, 지어무성, 고능위적지사명.)
미묘하고 미묘하여 무형의 경지까지 이르고,
신묘하고 신묘하여 소리가 없는 지경까지 이르니,
능히 적의 운명을 좌우하는 사람이 될 수 있다.
進而不可禦者, 衝其虛也, 退而不可追者, 速而不可及也.
(진이불가어자, 충기허야, 퇴이불가추자, 속이불가급야.)
내가 나아가되 적이 나를 막을 수 없는 것은
적의 허를 치기 때문이요,
내가 물러가되 적이 나를 쫓지 못하는 것은
내가 빨라서 적이 따라 올 수 없기 때문이다.
故我欲戰, 敵雖高壘深溝, 不得不與我戰者, 攻其所必救也.
我不欲戰, 雖劃地而守之, 敵不得與我戰者, 乖其所之也.
(고아욕전, 적수고루심구, 부득불여아전자, 공기소필구야.
아불욕전, 수획지이수지, 적부득여아전자, 괴기소지야.)
그러므로 내가 싸우고자 하면, 적이 아무리 성루를 높이고
참호를 깊이 파도 어쩔 수 없이 나와 싸울 수 밖에 없는 것은
적이 반드시 구해야만 하는 곳을 공격하기 때문이다.
내가 싸우고자 하지 않으면, 땅에 선만 긋고 지키더라도 적이
어쩔 수 없이 나와 싸우지 못하는 것은 적이 기도하는 바를
미리 어그러뜨리기 때문이다.
故形人而我無形, 則我專而敵分.
我專爲一, 敵分爲十, 是以十攻其一也.
(고형인이아무형, 즉아전이적분.
아전위일, 적분위십, 시이십공기일야.)
그러므로 적은 드러나게 하되 나는 드러나지 않으면
나는 병력을 집중하고 적은 병력을 분산하게 된다.
나는 병력을 집중하여 하나가 되고,
적은 분산하여 열로 나누어지니 이것은 열배의 병력으로
하나를 공격하는 셈이 된다.
則我衆敵寡, 能以衆擊寡, 則吾之所與戰者 約矣.
(즉아중적과, 능이중격과, 즉오지소여전자 약의.)
그렇게 되면 나는 수가 많고 적은 수가 적어지니,
많은 수로 적은 수를 공격할 수 있으면 내가 더불어
싸우는 상대는 쉬워진다.
吾所與戰之地不可知, 不可知, 則敵所備者多,
敵所備者多, 則吾所與戰者寡矣.
(오소여전지지불가지, 불가지, 즉적소비자다,
적소비자다, 즉오소여전자과의.)
내가 적과 더불어 싸우게될 곳을 적이 알 수 없으니
이것을 알 수 없으면 적이 대비해야 할 곳이 많아지고,
적이 대비해야 할 곳이 많아지면 내가 더불어 싸울 적의
수는 적어진다.
故備前則後寡, 備後則前寡, 備左則右寡, 備右則左寡,
無所不備, 則無所不寡.
(고비전즉후과, 비후즉전과, 비좌즉우과, 비우즉좌과,
무소불비, 즉무소불과.)
그러므로 앞을 방비하면 뒤가 적어지고 뒤를 방비하면 앞이 적어지며,
왼쪽을 방비하면 오른쪽이 적어지고, 오른쪽을 방비하면 왼쪽이 적어지며,
방비하지 않는 곳이 없게 한다면 적어지지 않는 곳이 없다.
寡者, 備人者也. 衆者, 使人備己者也.
(과자, 비인자야. 중자, 사인비기자야.)
내가 병력이 적다는 것은 내가 적을 대비하기 때문이요,
내가 병력이 많다는 것은 적으로 하여금 나를 대비하게 하기 때문이다.
故知戰之地, 知戰之日, 則可千里而戰.
不知戰地, 不知戰日, 則左不能救右, 右不能救左,
前不能救後, 後不能救前, 而況遠者數十里, 近者數里乎.
(고지전지지, 지전지일, 즉가천리이전.
부지전지, 부지전일, 즉좌불능구우, 우불능구좌,
전불능구후, 후불능구전, 이황원자수십리, 근자수리호.)
그러므로 싸울 곳을 알고 싸울 날을 알면
천리나 되는 먼 길을 가서라도 싸울 수 있지만,
싸울 곳을 모르고 싸울 날을 모르면 좌군이 우군을 구하지 못하고,
후위가 전위를 구하지 못할 것이니, 하물며 서로간의 거리가 먼 경우는
수십리나 되고, 가깝더라도 수 리나 떨어져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어떠하리.
以吾度之, 越人之兵雖多, 亦奚益於勝哉.
(이오도지, 월인지병수다, 역해익어승재.)
나의 생각으로 헤아려볼때, 월나라의 병력이 비록
많다고 해도 또한 어찌 이기는 데 보탬이 되겠는가?
故曰, 勝可爲也. 敵雖衆, 可使無鬪.
(고왈, 승가위야. 적수중, 가사무투.)
고로 승리는 만들 수 있다고 하였으니, 적이 비록 많다 하더라도
적으로 하여금 가히 싸우지 못하게 할 수 있다.
故策之而知得失之計, 作之而知動靜之理,
形之而知死生之地, 角之而知有餘不足之處.
(고책지이지득실지계, 작지이지동정지리,
형지이지사생지지, 각지이지유여부족지처.)
고로 적의 계책을 자세히 헤아려 적 계책의 득실을 파악하고
적을 움직이게 하여 적 동정의 이치를 파악하고,
적을 드러나게 하여 그들이 생지에 있는지 사지에 있는지를 파악하고
적과 부딪쳐 적의 어느 곳이 여유가 있고 어느 곳이 부족한 지를 안다.
形兵之極, 至於無形. 無形, 則深間不能窺, 智者不能謀.
(형병지극, 지어무형. 무형, 즉심간불능규, 지자불능모.)
형태의 끝은 형태가 없는 것에 이르게 하는 것이니
형태가 없다면 깊이 들어와 있는 간첩도 엿볼 수 없고,
비록 적에게 지혜가 있는 자가 있더라도 능히 꾀를 도모할 수 없다.
因形而措勝於衆, 衆不能知.
人皆知我所勝之形, 而莫知吾所以制勝之形.
(인형이조승어중, 중불능지.
인개지아소승지형, 이막지오소이제승지형.)
적의 형태에 따라 사람들 앞에서 승리를 거두어도
사람들은 어떻게 승리를 했는지 알지 못한다.
사람들은 내가 승리한 겉모양은 알 수 있을지라도
승리를 만든 그 속모양은 알지 못한다.
故其戰勝不復, 而應形於無窮.
(고기전승불복, 이응형어무궁.)
그러므로 싸움에서 승리하는 방법은
두 번 사용하지 않고, 무궁하게 응용해 나가는 것이다.
夫兵形象水, 水之形, 避高而趨下, 兵之形, 避實而擊虛.
(부병형상수, 수지형, 피고이추하, 병지형, 피실이격허.)
무릇 군대의 운용은 물의 성질을 닮았으니
물의 성질은 높은 곳을 피해 낮은 곳으로 흘러가고
군대의 운용은 적의 실을 피해 허한 곳을 공격한다.
水因地而制行, 兵因敵而制勝.
(수인지이제행, 병인적이제승.)
물은 땅의 형태에 따라 갈 길을 잡아 나가며,
군대는 적의 형태에 따라 승리를 만들어 나간다.
故兵無成勢, 無恒形, 能因敵變化而取勝者, 謂之神.
(고병무성세, 무항형, 능인적변화이취승자, 위지신.)
그러므로 군대에는 고정된 세나 변하지 않는 형이 없고,
적의 변화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여 승리를 얻는 것이니,
이 정도가 되면 신의 경지라고 한다.
故五行無常勝, 四時無常位, 日有短長, 月有死生.
(고오행무상승, 사시무상위, 일유단장, 월유사생.)
그러므로 오행의 어느 요소도 다른 모든 요소를 이길 수 없으며
사계절도 언제나 고정됨이 없으며, 해도 길고 짧음이 있고,
달도 차고 기울어짐이 있다.
허허실실!
손자병법 6편 허실은 다른 편에 비해서 양이 조금 많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제7편 군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책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자병법 원문 해역 10분 만에 끝내기 (구변) (0) | 2020.04.05 |
---|---|
손자병법 원문 해역 10분만에 끝내기 (군쟁편) (0) | 2020.04.04 |
손자병법 읽기 5분만 투자하세요 (0) | 2020.04.03 |
손자병법 읽기 5분만 투자하세요 (0) | 2020.04.02 |
필독서 손자병법 읽기 5분만 투자하세요 (0) | 2020.04.01 |